여론광장
영절(令節) 절사(節祀), 삭망(朔望) 탄일(誕日) 별다례(別茶禮)
 김민수
 2014-03-25 10:30:28  |   조회: 7321
첨부파일 : -
영절(令節) 절사(節祀), 삭망(朔望) 탄일(誕日) 별다례(別茶禮)













http://blog.naver.com/msk7613












조선국 국왕이 조령(詔令)으로, 대한제국 황제가 칙령(勅令)으로 정한 아름답고 좋은 날인 영절(令節Yeongjeol)에 제사(祭祀)지내는 절사(節祀)는 정조절(正朝節:1월 1일 원조(元朝)),상원(上元:정월 보름),중화절(中和節:2월 초하루),중삼절(重三節:3월 3일 삼짇날,답청절),한식절(寒食節),단오절(端午節),유두절(流頭節),칠석절(七夕節),중원(中元:7월 보름 백중),중추절(中秋節:추석),중구절(重九節:9월 9일),하원(下元:10월 보름),동지절(冬至節),납향절(臘享節)에 지내는 제사로 절제(節祭)라고도 하며 제수(祭需)는 통째로 끓는 물에 삶은 희생(犧牲)을 쓰지 않고 서수(庶羞)만을 쓰며 독축(讀祝)을 하지 않고 제주(祭酒)도 일헌(一獻)만 한다. 우리 한민족이 전통적으로 달마다 제사를 지내온 영절(令節)은 영신(令辰), 가절(佳節), 가신(佳辰)이라 하였고 절사(節祀)를 봉제사(奉祭祀)하였다. 조선시대, 대한제국 시대까지 모든 달에 영절(令節)이 있었고 대부분의 영절(令節)이 중양(重陽)의 길일(吉日), 1, 4, 7, 10월 상순인 4시(四時),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인 삭망(朔望)과 연관이 있다. 길일(吉日)은 우리 한민족이 좋아하는 1·3·5·7·9라는 모든 양수(홀수)가 겹친 중양(重陽)의 영절(令節)로 1월 1일 설날 원조(元朝)인 정조절(正朝節)을 비롯하여 중삼절(重三節)인 3월 3일 삼짇날, 단오절(端午節)인 5월 5일, 칠석절(七夕節)인 7월 7일, 중양절(重陽節)인 9월 9일 등이다. 세종조에 초하루는 수일 양신(首日 良辰)이라고 일컫고 보름날은 십오 양신(十五 良辰)이라고 일컬었고 성종조에 초하루는 월삭 양신(月朔 良辰)으로 일컫고 보름날은 월망 양신(月望 良辰)으로 일컬었다.보름의 영절(令節)인 양신(良辰)은 상원(上元)인 정월 보름, 유두절(流頭節)인 6월 보름, 중원(中元:백중)인 7월 보름, 8월 보름 중추절(仲秋節), 하원(下元)인 10월 보름 등 보름 영절도 중양(重陽)의 영절(令節)과 같이 5일이나 된다. 작은 설이라는 동지절(冬至節), 동지절 후 105일 후에 맞는 한식절(寒食節), 2월 초하룻날인 중화절(中和節)도 영절(令節)에 포함되어 절사(節祀)를 봉제사(奉祭祀)하였다. 다례(茶禮)는 초하룻날과 보름날인 삭망(朔望), 조상님의 탄일(誕日)에 조상님께 다(茶)를 올리는 간소한 제사(祭祀)로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인 삭망(朔望), 조상님의 탄일(誕日:생신)에 지내는 별다례(別茶禮)와 황제(국왕)나 황후(왕후)의 3년상(三年喪) 동안 혼전(魂殿)과 산릉(山陵)에서 조석상식의(朝夕上食儀)의 중간인 낮에 간단히 차인 다(茶)만 올리는 주다례(晝茶禮)가 있다. 다례(茶禮) 시에는 조상님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지내며 무축단작(無祝單酌)이라 하여 축문(祝文)을 읽지 않고 다(茶)를 한 잔만 올리는 것이 원칙이다.














1524년 12월 8일 홍문관 응교(弘文館 應敎) 황효헌(黃孝獻) 등이 중종에게 상소하기를, “선조를 받들고 효도를 생각하는 것은 선조를 추념하여 정성을 다하고 신명(神明)을 공경하기 위한 것인데, 묘사(廟社)의 향사(享祀)를 예사(禮司)가 계품하면 거의 다 섭행(攝行)의 예(例)를 따르므로, 정성과 공경이 흡족하지 못하고 정리(情理)와 예문(禮文)이 합당하지 않아서 정결한 정성이 있음을 듣지 못하였고 계신 듯이 하는 공경을 혹 잃으니, 조종(祖宗)을 정결하게 제사하여 기쁘게 뵙고 공경을 다하는 의리가 과연 이러하겠습니까? 나라의 큰일은 제사와 군사(軍事)에 있으므로, 옛 임금은 반드시 제사하는 일을 중히 여겨 몸소 정성스런 의식을 다하였으니, 자신이 복을 받을 뿐더러 천지를 감동하고 인륜을 두텁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황제가 칙령으로 정한 아름답고 좋은 날인 영절(令節)의 절사(節祀) · 삭망(朔望)의 다례(茶禮)는 반드시 친히 지내지 못하시더라도, 사시의 대사(大祀)에 있어서는 몸소 정결하게 제사하고 훌륭한 전례(典禮)를 거행하여 효성과 공경의 참된 것을 밝혀 후사(後嗣)가 본받게 하시면 더없이 다행하겠습니다.”하였다.1560년 1월 16일 전 홍문관 교리 김인후(金麟厚)는 가례(家禮)에 유념하되 상례(喪禮)와 제례(祭禮)를 더욱 삼갔으며, 시제(時祭)와 절사(節祀)를 당해서는 비록 앓는 중이라도 반드시 참석했다. 1652년 9월 13일 예조가 아뢰기를, “보사제(報祀祭)는 5례의(五禮儀)에 실려 있기는 하나 제사지내는 절차는 기록된 글이 없으니, 초헌,아헌,종헌 3헌(三獻)하고 음악과 희생을 쓰는 일 같은 것은 절사(節祀)의 예에 따라 행하소서.”하니, 효종이 대신에게 의논하라고 명하였다. 1708년 8월 13일 숙종이 하교(下敎)하기를, “순회(順懷) · 소현(昭顯) 두 묘(墓)의 절사 제관(節祀 祭官)은 내관(內官)으로 차견(差遣)하며 술을 부어 잔을 드리는 일은 중추 절사(仲秋 節祀)부터는 내관으로 하여금 하게 하고, 또 두 묘(墓) 위에 탈이 있으면 예조(禮曹)의 당상관과 낭관(郞官)이 나아가 간심(看審)하고 춘추(春秋)에는 경기 감사(京畿 監司)가 각릉(各陵)을 봉심(奉審)할 때에 일체로 간심(看審)하게 하라.”하였다. 1719년 4월 30일 정언(正言) 홍현보(洪鉉輔)가 숙종에게 상서(上書)하였는데, 대략 이르기를, “나라의 대사(大事)는 제사(祭祀)에 달려 있으니, 진실로 한결같이 예제(禮制)를 준수(遵守)해야 마땅합니다. 그런데 기신제(忌辰祭)와 정조절(正朝節:음력 1월 1일 설날),한식절(寒食節),단오절(端午節),중추절(仲秋節:추석(秋夕)),동지절(冬至節)인 5영절(五令節) 절사(節祀)의 선품(饍品)을 단지 찹쌀가루 반죽을 쪄서 말린 다음 튀겨 꿀을 바른 뒤 고물을 묻혀낸 유과(油果)와 두부 등을 넣어 끓인 포탕(泡湯)만을 가지고 설행(設行)하니 매우 미안(未安)합니다.”하였다.1758년 7월 8일 장헌세자(莊獻世子)가 덕성합(德成閤)에 좌정하니, 우의정 신만(申晩)이 입대(入對)하기를, “혼전(魂殿)에 초하루와 보름인 삭망(朔望) 때에 다례(茶禮)와 아침과 저녁에 상식(上食)을 수시로 나아가서 참여하는 것이 곧 저하께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도리인 것입니다. 비록 혹시라도 왕세자의 건강인 예후(睿候)가 미령(未寧)할 때가 있을지라도 만약 억지로 행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형편에 이르지 아니하거든 반드시 몸소 참여해야 할 것입니다.”하였다.











돌아가신 조상님과 어른께 문안드리고 하루의 일과를 시작하는 것이 우리 한민족의 전통이며 봉사(奉祀)는 조상님을 섬기는 효(孝)를 행하는 것인데 하루 일과를 모두 마친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淫)·망어(妄語)·기어(綺語)·악구(惡口)·양설(兩舌)·탐욕(貪慾)·진에(瞋恚)·사견(邪見)의 10악(十惡)을 행한 저녁에 제사를 받들겠다는 것은 후손된 도리가 아닌 불효 중 으뜸가는 불효(不孝)이다. 합궁(合宮)과 음주가무(飮酒歌舞)를 즐기기 위해 잠을 자지 아니하고 밤을 새우는 것은 가능하나 1시간 소요되는 축시(丑時:01-03시) 봉사(奉祀) 또는 인시(寅時: 03∼05시) 신알례(晨謁禮)는 불가능한가? 신알례(晨謁禮)는 인시(寅時: 03∼05시)에 분향 재배(焚香 再拜)하며 기제(忌祭)는 반드시 조상님이 돌아가신 기일(忌日)의 자시(子時:00시- )에 준비하여 하늘에 28수(二十八宿)가 보이는 축시(丑時:01-03시)에 제주(祭主)의 집 사당(祠堂) 또는 벽감(壁龕)에서 봉제사(奉祭祀)하고 사당(祠堂) 또는 벽감(壁龕),감실이 없는 경우에는 조상님이 마치 계신 듯이 추모하여 제사지낸다는 의미로 사당(祠堂)과 위패(位牌)를 그린 사당도인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로 대신한다.고조부모님, 증조부모님, 조부모님, 부모님의 제사를 받드는 4대 봉사(四代 奉祀) 또는 증조부모님, 조부모님, 부모님의 제사를 받드는 3대 봉사(三代 奉祀), 서쪽의 남성 조상님 고위(考位)와 동쪽의 여성 조상님 비위(妣位)를 함께 제사모시는 고비 합사(考妣 合祀)한다.봉제사(奉祭祀) 시 반드시 독축(讀祝)하여야 하고 제주(祭主)가 초헌(初獻)한 후 참사자(參祀者)가 부복(俯伏)하면 독축(讀祝)하며 독축(讀祝)한 후 제주(祭主), 참사자(參祀者)는 재배(再拜)한다. 제례(祭禮)시 신명(神明) 앞에 고하는 축문(祝文)은 제위(祭位) 분께 간소한 제수(祭需)나마 흠향(歆饗)하시라는 뜻을 고하는 글이다. 제주(祭主)는 축문(祝文) 내용을 마음에 새기며 높지도 낮지도 않게 조상님을 추모하는 마음으로 독축(讀祝)한다. 축문(祝文)은 백색 한지(韓紙)를 너비 24cm x 16cm 정도에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먹물을 붓에 찍어 위에서 아래로 내려 쓴다. 첫번째 줄은 비운다. '維'를 위에서 3자 위치에 써서 축문의 기준으로 삼는다. 연호의 '檀君' 첫 자를 '維'자보다 2자 높여서 쓰기 시작한다. 제사 대상을 나타내는 첫 자인 '顯'자는 '維'자보다 1자 높여서 쓰기 시작한다. '檀'자보다는 1자 낮아진다. 축문의 끝자인 '饗'자는 '顯'자와 같은 높이로 쓴다. 축문의 끝에 1줄을 백지로 비워둔다. 다 쓴 축문은 축판(祝板)에 얹어서 향안의 서쪽 위에 올려놓는다.










동지절(冬至節) 후 105일인 한식절(寒食節)에 고조고(高祖考) 이하의 조상님 묘(墓)에서 8촌 이내의 친족인 당내(堂內)가 봉제사(奉祭祀)하는 것은 묘제(墓祭) 또는 묘향(墓享)라고 하고 1, 4, 7, 10월 상순에 5대조고(五代祖考) 이상 조상님의 묘(墓)에서 문중(門中)이 봉제사(奉祭祀)하는 것은 시제(時祭),시향(時享)이라고 하며 반드시 산신제(山神祭)를 먼저 지내고 봉제사(奉祭祀)한다. 산신제(山神祭)는 묘지의 동쪽에서 남향하여 '土地之神'이라고 써서 설위(設位)하고 분향(焚香)없이 땅에 술만 3번 부어서 강신(降神)하고 신위 전에 술을 한잔 올리고 독축(讀祝)하고 재배(再拜)한다. 시조제(始祖祭)는 동지(冬至)에 시조님께, 선조제(先祖祭)는 입춘(立春)에 5대조고 이상 조상님께, 이제(禰祭)는 음력 9월 15일에 돌아가신 부모님께 제사지낸다.상중제례(喪中祭禮)로 견전제(遣奠祭)는 영구(靈柩)를 상여(喪輿)에 실은 후 마지막으로 지내는 제사이며 우제(虞祭)는 조상님을 묘지에 매장한 날 해가 지기 전에 지내는 초우(初虞)를 포함하여 3 - 9회 지낸다.천자(天子)는 9우제(九虞祭), 제후(諸侯)는 7우제(七虞祭), 경대부(卿大夫)는 5우제, 사서인(士庶人)은 3우제(三虞祭)를 행한다. 우제 이후 뽕나무 신주 상주(桑主)를 만든다. 졸곡제(卒哭祭)는 조상님이 돌아가신 날로부터 약 100일이 된 날에 지낸다. 부제(祔祭)는 졸곡제(卒哭祭)를 지낸 다음 날 신주(神主) 율주(栗主)를 사당에 봉안하는 제사이다. 밤나무 신주인 율주(栗主)를 봉안하며 밤나무처럼 나의 근본인 조상님을 잊지말라는 뜻이다.연제(練祭)는 소상(小祥)이라고도 하며 조상님이 돌아가신 날로부터 1년만에 지낸다. 상제(祥祭)는 대상(大祥)이라고도 하며 조상님이 돌아가신 날로부터 2년만에 지내며 굴건제복(屈巾祭服)을 벗고 소복(素服)을 입는다. 담제(禫祭)는 대상을 지낸 2개월 후에 날을 골라 소복(素服)을 벗고 평상복을 입는 제사를 지낸다. 길제(吉祭)는 담제를 지낸 다음 날 사당의 봉사(奉祀)할 조상님의 신주를 고쳐 쓰는 제사를 지낸다.사당 또는 벽감(壁龕),감실에 4대의 신주(神主)만을 봉안하고 그 윗대의 조상님의 신주(神主)는 매안(埋安)한다.














@ 기제(忌祭) 축문(祝文)









돌아가신 고조부모님(顯高祖考 顯高祖妣) 기제(忌祭) 축문(祝文)









維 歲次干支0月干支朔0日干支(0년 0월 0일) 孝玄孫 (이름) 敢昭告于 顯高祖考學生(또는 관직명)府君 顯高祖妣孺人(또는 O부인) 淸州 韓氏 歲序遷易 顯高祖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淸酌庶羞 供伸奠獻 尙 饗







유 세차간지0월간지삭0일간지(0년 0월 0일) 효현손 (이름) 감소고우(감히 아뢰옵니다) 현고조고학생(또는 관직명)부군 현고조비유인(또는 O부인) 청주 한씨 세서천역(해의 차례가 바뀌어) 현고조고(고조부님) 휘일부림(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아) 추원감시(고조부모님의 덕을 추모하는 마음이) 불승영모(영원하신 은혜가 커서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해) 근이청작서수(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제수를) 공신전헌(공경히 차려 제의를 드리오니) 상향(흠향하소서)









돌아가신 증조부모님(顯曾祖考 顯曾祖妣) 기제(忌祭) 축문(祝文)









維 歲次干支0月干支朔0日干支(0년 0월 0일) 孝曾孫 (이름) 敢昭告于 顯曾祖考學生(또는 관직명)府君 顯曾祖妣孺人(또는 O부인) 扶安 林氏 歲序遷易 顯曾祖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淸酌庶羞 供伸奠獻 尙 饗







유 세차간지0월간지삭0일간지(0년 0월 0일) 효증손 (이름) 감소고우(감히 아뢰옵니다) 현증조고학생(또는 관직명)부군 현증조비유인(또는 O부인) 부안 임씨 세서천역(해의 차례가 바뀌어) 현증조고(증조부님) 휘일부림(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아) 추원감시(증조부모님의 덕을 추모하는 마음이) 불승영모(영원하신 은혜가 커서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해) 근이청작서수(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제수를) 공신전헌(공경히 차려 제의를 드리오니) 상향(흠향하소서)









돌아가신 조부모님(顯祖考 顯祖妣) 기제(忌祭) 축문(祝文)









維 歲次干支0月干支朔0日干支(0년 0월 0일) 孝孫 (이름) 敢昭告于 顯祖考學生(또는 직위)府君 顯祖妣孺人(또는 직위) 東萊 鄭氏 顯祖妣孺人(또는 직위) 高靈 申氏 歲序遷易 顯祖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淸酌庶羞 供伸奠獻 尙 饗







유 세차간지0월간지삭0일간지(0년 0월 0일) 효손 (이름) 감소고우(감히 아뢰옵니다) 현조고학생(또는 관직명)부군 현조비유인(또는 직위) 동래 정씨 현조비유인(또는 직위) 고령 신씨 세서천역(해의 차례가 바뀌어) 현조고(할아버님) 휘일부림(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아) 추원감시(조부모님의 덕을 추모하는 마음이) 불승영모(영원하신 은혜가 커서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해) 근이청작서수(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제수를) 공신전헌(공경히 차려 제의를 드리오니) 상향(흠향하소서)









돌아가신 부모님(顯考 顯妣) 기제(忌祭) 축문(祝文)









維 歲次干支0月干支朔0日干支(0년 0월 0일) 孝子 (이름) 敢昭告于 顯考學生(또는 직위)府君 顯妣孺人(또는 직위) 昌寧 曺氏 歲序遷易 顯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유 세차간지0월간지삭0일간지(0년 0월 0일) 효자 (이름) 감소고우(감히 아뢰옵니다) 현고학생(또는 직위)부군 현비유인(또는 직위) 창녕 조씨 세서천역(해의 차례가 바뀌어) 현고(아버님) 휘일부림(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아) 추원감시(부모님의 은혜를 추모하는 마음이) 호천망극(하늘처럼 끝이 없어서) 근이청작서수(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제수를) 공신전헌(공경히 차려 제의를 드리오니) 상향(흠향하소서)










@ 묘제,시제 전 산신제 축문(山神祭 祝文)









維 歲次 ㅇㅇ ㅇ月 ㅇㅇ朔 ㅇㅇ日 ㅇㅇ 幼學(관직명) ㅇㅇㅇ 敢昭告于
유 세차 간지 0월 간지삭 00일 간지 유학(관직명) 성이름 감소고우

土地之神 恭修歲事于 ㅇ代祖考學生(관직명)府君之墓
토지지신 공수세사우 0대조고학생(관직명)부군지묘

維時保佑 實賴神休 敢以 酒饌 敬伸奠獻 尙 饗
유시보우 실뢰신휴 감이 주찬 경신전헌 상 향







○○년 ○월 ○○일 ○○○는 토지신께 삼가 아룁니다
저의 ○대조 할아버님 묘소를 이 곳에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때가 돌아와 토지신께서 보살펴 주신 고마움에
삼가 경건한 마음으로 술과 찬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5대조고(五代祖考) 이상 시제 축문(時祭 祝文)









維 歲次 ○○ ○月 ○○ 朔 ○日 ○○

유 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世孫 ○○ 敢昭告于

○세손 이름 감소고우

顯 ○代祖考 學生 (또는 관직명) 府君

현 ○대조고 학생 (또는 관직명) 부군

顯 ○代祖妣孺人 (또는 O부인) 本貫 姓氏 之墓

현 ○대조비 유인 (또는 O부인) 본관 성씨 지묘

歲薦一制 禮有中制 履玆霜露 彌增感慕

세천일제 예유중제 이자상로 미증감모

謹用 淸酌時羞 祗奉常事 尙 饗

근용 청작시수 지봉상사 상 향







0세손 00는 0대조 할아버님·할머님 묘소에 고하나이다.
1년에 묘사(墓祀)를 한번 올리는 것이 제도에 맞는 것이라 생각되옵니다.
서리와 이슬을 밟고 묘소를 찾아보니 사무치는 정이 더욱 간절합니다.
삼가 맑은 술과 음식으로 세사(歲祀)를 받자오니 드시기 바랍니다.









祖考(조고) - 高祖考(고조고) 묘제 축문(墓祭 祝文)









維 歲次 ○○ ○月 ○○ 朔 ○日 ○○

유 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

孝孫 ○○ 敢昭告于

효손 이름 감소고우

顯 ○祖考 學生 (또는 관직명) 府君

현 ○조고 학생 (또는 관직명) 부군

顯 ○祖妣孺人 (또는 O부인) 本貫 姓氏 之墓

현 ○조비 유인 (또는 O부인) ○○ ○씨 지묘

氣序流易 霜露旣降 瞻掃封塋 不勝感模

기서유역 상로기강 첨소봉영 불승감모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향







효손(효증손, 효현손) 00는 할아버님·할머님 묘소에 고하나이다.
계절의 순서가 흘러 바뀌어 서리와 이슬은 벌써 내렸습니다.
무덤을 찾아와서 우러러보니 흠모하는 정을 이기지 못 하겠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세사(歲祀)를 받드오니 흠향하시옵소서.









부모(父母)님 묘제(墓祭) 축문(祝文)









維 歲次 O O O月 O O 朔 OO日 O O 孝子OO 敢昭告于

유 세차 간지 O월 간지 삭 OO일 간지 효자OO 감소고우

顯考學生(또는 직위)府君 顯妣孺人(또는 직위) 本貫 姓氏 之墓

현고학생부군 현비유인 본관 성씨 지묘

氣序流易 雨露旣濡 瞻掃封塋 昊天罔極

기서유역 우로기유 첨소봉영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향







효자 00는 아버님·어머님 묘소에 감히 고하나이다
계절의 순서가 흘러 바뀌어 비와 이슬은 벌써 내렸습니다
무덤을 찾아와서 우러러보니 부모님 은혜가 하늘처럼 끝이 없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세사(歲祀)를 받드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계빈 축문(啓殯 祝文)






발인(發靷) 전 빈소(殯所)에 천구(遷柩)할 것을 고하는 축문이다.







今以吉辰 遷柩敢告



(금이길신 천구감고)







오늘 좋은 날을 맞아 관(棺)을 옮기려고 삼가 고하옵니다.









@ 천구청사 축문(遷柩廳事 祝文)






관을 들어낼 때 읽는 축문이다.







請遷柩于聽事 (청천구우청사)







관(棺)을 밖으로 옮기기를 청하옵니다.








@ 천구 취여 축문(遷柩 就轝 祝文)






관을 상여로 옮기고 읽는 축문이다.









今遷柩就轝 敢告 (금천구취여 감고)







이제 관(柩)을 옮겨 상여(喪輿)로 옮김에 삼가 고합니다.





처(妻),손아래 사람은 감고(敢告) 대신 자고(玆告)라고 쓴다.








@ 견전 축문(遣奠 祝文), 발인 축문(發靷 祝文), 영결 축문(永訣 祝文)








상여(喪輿)가 장지로 떠나는 발인(發靷) 전 집 앞에서 제사를 지내면서 읽는 축으로 발인제나 영결식을 행하고 이 축을 읽는다.견전(遣奠)이란 고인이 생전에 기거하던 곳을 떠나는 작별인사 의식으로 발인이나 영결과 같은 뜻이다. 상여 앞에 제상을 놓고 간소하게 음식을 차리고 잔을 올린다.







靈轜旣駕 往則幼宅 載陳遣禮 永訣終天
영이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







영좌를 실은 상여를 이미 메게 되었으니 가면 곧 무덤이므로 보내는 예를 베풀어 영원토록 이별함을 고하나이다.









@ 노제 축문(路祭 祝文)








운구(運柩) 도중 상여를 멈추고 노제(路祭)를 지낼 경우 읽는 축이다. 고인을 보내는 고별인사로 제문을 읽어 고인의 유덕(遺德)을 추모하고 업적(業績)을 찬양하는 내용이다.







維 歲次 (0年) (0)月 (干支)朔 (0)日 (干支) (姓名)
유 세차 0년 0월 간지삭 0일 간지 성명

敢昭告于 (本貫) (姓)公 諱 이름 之柩
감소고우 본관 성 공 휘 이름 지구

(고인의 유덕(遺德) 추모, 업적(業績)을 찬양하는 글을 읽는다.)

尙饗
상향





0年 0月 0日 00은 본관(本貫) 성(姓)公 諱 이름의 상여(喪輿) 앞에서 고인의 유덕(遺德)을 추모하고 업적(業績)을 높이 찬양하오니 흠향하옵소서








@ 산역(山役) 전 산신 축문(山神 祝文)








산역(山役)을 시작하기 전 묘역 바로 위 동쪽에 잔(盞), 실과(實果), 포(飽)를 진설하고 산신께 고하는 축이다. 상주(喪主)의 친지 중에서 상주를 대신하여 지낸다.






維 歲次 (干支) (0)月 (干支)朔 (0)日 (干支)
유 세차 간지 0월 간지 삭 0일 간지

(姓名) 敢昭告于 土地之神
성명 감소고우 토지지신

今爲學生 (本貫)(姓)公 諱 이름 營建宅兆
금위학생 본관 성 공 휘 이름 영건택조

神其保佑 비無後艱 謹以淸酌脯醯 祗薦于神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청작포혜 지천우신

尙 饗
상 향







0年 0月 0日 00은 토지신께 감히 고하옵니다. 이제 이곳에 본관(本貫) 성(姓)公 諱 이름의 묘를 마련하오니 신께서 도우셔서 후환이 없도록 지켜주소서. 삼가 맑은 술과 포혜로서 공경히 올리오니 흠향 해 주소서.








@ 선영 축문(先塋 祝文)








장지가 선영에 있을 경우는 맨 위 조상님 묘에만 제사를 지내고 읽는 축이다. 상주(喪主)가 축을 읽는다.







維 歲次 (干支) (0)月 (干支)朔 (0)日 (干支)
유 세차 (간지) (0)월 (간지)삭 (0)일 (간지)

(몇)世孫 이름 敢昭告于 顯(0)代祖考 學生(또는 관직명)府君之墓
(몇)세손 이름 감소고우 현(0)대조고 학생(관직명)부군지묘

今爲 0世孫 (고인 이름) 營建宅兆(위치)
금위 0세손 고인 이름 영건택조(위치)

謹以酒果 用伸虔告謹告
근이주과 용신건고근고







0년 0월 0일 0세손 (이름)은 0대조께 감히 고하옵니다.0세손 (고인 이름)의 묘를 이제 0대조께서 계신 묘소의 (위치)에 모시게 되었습니다. 삼가 주과로 경건히 고하옵니다.








@ 선장위 축문(先葬位 祝文)








이미 쓴 조상님 묘에 합장하기 위해서 묘 안의 조상님이 놀라시지 않도록 봉분을 열기 전에 읽는 축이다.






維 歲次 (干支) (0)月 (干支)朔 (0)日 (干支)
유세차 (간지) (0)월 (간지)삭 (0)일 (간지)

孤哀子 (이름)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本貫姓公之墓
고애자 이름 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 본관성공지묘

罪逆凶釁 先妣見背日月不居 葬期已屆
죄역흉흔 선비견배일월불거 장기이계

將以今日合祔于 墓左 昊天罔極 謹以酒果 用伸虔告 謹告
장이금일합부우 묘좌 호천망극 근이주과 용신건고 근고







0년 0월 0일 고애자 00는 감히 선고 본관(本貫) 성(姓)公의 묘에 고합니다.고애자 00가 죄가 많아서 어머님이 돌아가시어 합장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묘 좌측에 모시겠사오니 은혜가 망극하옵기에 주과를 놓고 정성껏 고하나이다.








@ 평토제 축문(平土祭 祝文)








하관(下棺)하고 봉분을 만들기 전 지표면과 똑같이 평토가 되었을 때 제사를 지내고 축문을 읽는다.







維 歲次 (干支) (0)月 (干支)朔 (0)日 (干支)
유 세차 (간지) (0)월 (간지)삭 (0)일 (간지)

孤子(이름)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形歸芚穸 神返室堂

(고자)이름 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 형귀둔석 신반실당

神主未成 魂魄仍存 捨舊從新 是憑是依
신주미성 혼백잉존 사구종신 시빙시의







0년 0월 0일 00는 아버님께 감히 고하옵니다. 육신은 무덤 속으로 가셨사오나 신혼(神魂)은 집으로 돌아가시옵소서. 아직 신주를 만들지 못하였사오나 영정이 있사오니 영혼은 옛 것을 버리시고 새 것을 좇아 여기에 기대하고 의지하시옵소서.(모친상이면 애자(哀子), 부친상이면 고자(孤子), 양친 다 돌아가셨으면 고애자(孤哀子)라고 쓴다.)








@ 초우제 축문(初虞祭 祝文)






장사일에 묘소에서 평토제(平土祭)가 끝나면 상주는 영정을 모시고 상여가 나갔던 길을 따라 집으로 되돌아오는 반혼(返魂)한 뒤 집에서 지내는 첫 번째 제사인 초우제(初虞祭)를 지내면서 읽는 축이다. 안상주는 대문 밖으로 나와 영정을 맞이하여 안팎 상주가 마주 읍곡(泣哭)하고 영정을 집안으로 모신다.







維 歲次 (干支) (0)月 (干支)朔 (0)日 (干支)
유 세차 (간지) (0)월 (간지)삭 (0)일 (간지)

孤子 이름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이름 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

日月不居 奄及初虞 夙興夜處 哀慕不寧
일월불거 엄급초우 숙흥야처 애모불령

謹以 淸酌庶羞 哀薦祫事 尙饗
근이 청작서수 애천협사 상향





0년 0월 0일 고자 00은 감히 돌아가신 아버지께 고하나이다. 문득 초우가 되었습니다. 밤낮으로 슬피 사모하여 편하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음식으로 제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옵소서. (모친상이면 애자(哀子), 부친상이면 고자(孤子), 양친 다 돌아가셨으면 고애자(孤哀子)라고 쓴다.)







@ 소상 축문(小祥 祝文)







維 歲次干支 某月干支朔 某日干支

유 세차간지 모월간지삭 모일간지



孤子 이름 敢昭告于

고자 이름 감소고우



顯考某官府君 日月不居

현고모관부군 일월불거





奄及小祥 夙興夜處 哀慕不寧

엄급소상 숙흥야처 애모불녕



謹以 淸酌庶羞 哀薦祥事 尙饗

근이 청작서수 애천상사 상향



아무 해 아무달 아무날 아들 아무개는 감히 고하나이다.

세월이 흘러 아버지 돌아 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애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 과 여러 가지 음식을 갖추고 슬픔을 다하여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모친상이면 애자(哀子), 부친상이면 고자(孤子), 양친 다 돌아가셨으면 고애자(孤哀子)라고 쓴다.)







@ 대상 축문(大祥 祝文)





維 歲次干支 某月干支朔 某日干支

유 세차간지 모월간지삭 모일간지



孤子 이름 敢昭告于

고자 이름 감소고우



顯考某官府君 日月不居

현고모관부군 일월불거





奄及大祥 夙興夜處 哀慕不寧

엄급대상 숙흥야처 애모불녕



謹以 淸酌庶羞 哀薦祥事 尙饗

근이 청작서수 애천상사 상향





아무 해 아무달 아무날 아들 아무개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의 대상을 맞았습니다. 날마다 슬피 사모하여 편할 수가 없사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모친상이면 애자(哀子), 부친상이면 고자(孤子), 양친 다 돌아가셨으면 고애자(孤哀子)라고 쓴다.)







국왕 추존,섭정 가능한 대원군 합하(閤下)의 처는 무품(無品) 대부인(大夫人), 대군(大君)의 처(妻)와 왕비의 어머니는 정1품 부부인(府夫人), 왕자군(王子君)의 처(妻)는 종1품의 군부인(郡夫人),대전 유모 종1품 봉보부인(奉保夫人), 정경부인(貞敬夫人)은 1품 문무관의 아내를 정부인(貞夫人)은 2품 문무관의 아내를 숙부인(淑夫人)은 정3품 당상 문무관의 아내를 숙인(淑人)은 종3품 당하관의 아내를 영인(令人)은 4품 문무관의 아내를 공인(恭人)은 5품 문무관의 아내를 의인(宜人)은 6품 문무관의 아내를 안인(安人)은 7품 문무관(文武官)의 아내를 단인(端人)은 8품 문무관의 아내를 유인(孺人)은 9품 문무관의 아내이다.
2014-03-25 10:30:28
1.244.171.25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