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지배하는 인간의 자세
지구를 지배하는 인간의 자세
  • 박병상 칼럼위원
  • 승인 2011.11.14 11:27
  • 호수 58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0월 31일, 세계 인구는 드디어 70억 명을 돌파했다. 1999년 10월 이후 12년 만에 10억이 늘어난 것이다. 이런 추세로 21세기 말이면 100억을 넘길 것으로 학자들은 전망하는데, 그때까지 살지 못할 테니 얼마나 다행인가. 100억이 넘는 인구의 아비규환은 지금부터 돌이켜야 할 텐데…. 70억을 돌파하면서 언론은 사라예보에서 코피 아난 유엔사무총장의 축복을 받은 60억 번째 아기의 삶을 주목했다. 참 고달팠던데, 70억 번째 아기는 인구가 80억을 돌파할 때에도 건강한 삶을 구가하고 있을까.
1960년대 신맬서스주의자들이 퍼뜨린 ‘인구폭탄’ 망령이 재현되려는지, 언론마다 새삼 환경과 자원 문제를 짚고 나섰다. 에너지 과소비에 의한 지구온난화, 그리고 세계의 인구와 식량 부족을 걱정했지만, 우리의 인구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4000만이 넘을 때엔 큰일이다 눈을 부라리더니, 5000만을 넘긴 현재 더 낳으라 다그쳐도 괜찮은 건가. 식량의 4분의3과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하면서 더 낳으라는 우리. 세계 인구가 우리처럼 소비한다면 지구는 어떻게 될지, 어떤 언론도 우리의 끔찍할 내일을 경고하지 않았다.
1968년 폴 에를리히는 《인구폭탄》을 썼다. 18세기 맬서스처럼, 폴 에를리히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를 식량이 먹이지 못한다면 사회 혼란을 맞을 수 있다고 무섭게 경고햤다. 록펠러와 포드재단의 지원으로 세계 인구의 증가를 제한하려 미국이 가난한 국가들을 쥐 잡듯 볶아댈 때, 미국 대학의 젊은 생물학자 폴 에를리히는 신맬서수주의자의 선봉에 섰는데, 요즘은 다른 목소리를 낸다. 1960년대, 풍요로운 미국의 삶에 익숙해진 에를리히는 늘어나는 세계의 가난한 인구를 주목했지만, 나이 들어가면서 자연의 질서에 반하는 삶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안목을 키웠고 80세에 다가서면서 쓴 《진화의 종말》에서 미국식 삶을 비판하게 되었다. 지구 최상위 포식자마저 지배하는 인간의 수는 현재 지나치게 많다. 그러므로 이제와 확! 줄일 수 없다면, 대안적 삶을 모색해야 한다.
에를리히는 진화를 연구하는 생물학자다. 그는 인간이 큰 두뇌를 앞세우고 지구촌에 나타나 인구를 한없이 늘리면서 발생한 생태적 변화부터 주목한다. 진화돼 나타난 숱한 생물종들은 예측할 수 없는 환경변화에 적응하거나 도태되면서 명멸했지만 자연스러웠는데, 인간 등장 이후 급변했다. 커다란 두뇌로 엮어나간 문화는 이윽고 과학을 만들어내 이론과 기술을 새롭게 얹어나가더니, 자신만을 위한 과학기술로 확장하면서 사단을 일으켰다는 거다. 진화를 연구하는 원로학자다운 차분한 설명은 이어진다. 진화와 문화가 환경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궁금한 일반 독자는 물론, 환경변화에 무덤덤한 생물학도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겠다. 한마디로 환경의 지배에서 자유롭지 못한 문화에 편견이 개입되면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