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 뺏는 경제성장의 한계
의자 뺏는 경제성장의 한계
  • 박병상 칼럼위원
  • 승인 2013.09.12 22:40
  • 호수 68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글러스 러미스라는 사상가는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물었다. 경제가 어느 이상 성장하지 않으면 기업은 풍부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하니 규모를 줄여야 하고, 여파로 실업이 속출하니 개인은 빚에 쪼들리게 되므로 경제는 성장해야 한다고 주류 경제학자와 경제 담당 기자들은 이야기한다. 경제가 충분히 성장하면 그 사회는 풍요로울 게 분명한데, 더글러스 러미스는 아니라고 말한다. 경계성장이 없어도 풍요로울 수 있다는 건데, 무슨 뜻일까.


구입할 물건이 풍부하면 정신이 풍요로워지는 사람이 많겠지만 아닌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더글러스 러미스가 이야기하는 풍요는 경계 전문가가 흔히 이야기하는 풍요와 성격이 다를 듯한데, 요즘보다 물질적으로 풍요롭지 못했던 과거, 버는 돈도 구입할 물건도 훨씬 적었으므로 조상들이 우리보다 불행했을까. 경험에 미루어 경제성장이 안되면 기업과 개인이 어려움을 겪는 건 분명해 보이는데, 조상들은 달랐다. 해마다 일정 비율로 경제가 성장하지 않았을 텐데, 불행하지 않았다. 더글러스 러미스 주장은 과거의 경험에 제한된 주장일까.


경제 이론에 문외한이지만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자니, 경제성장 강박은 이자와 무관하지 않겠다 싶다. 월급으로 받든, 장사를 해서 벌든, 우리는 대부분 은행에서 발행하는 돈을 빌려서 쓴다. 돈은 교환수단이다. 물물교환으로 텔레비전 사려는 농부는 쌀가마니 몇 개를 짊어지고 백화점을 찾아야할 테지만 돈이 있다면 그럴 필요 없다. 돈의 표면에 기록된 숫자를 텔레비전 가격만큼 모아 전달하면 된다. 요즘은 굳이 돈을 갖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은행이 인정해주는 신용카드로 계산하면 그만이다. 무척 편리해졌지만 우리는 빌린 돈을 반드시 갚아야 하는데, 은행은 이자를 요구한다.


종이나 신용카드로 거래하는 돈은 얼마나 풀려야 적당한가. 돈으로 교환할 물건의 양보다 많으면 인플레이션, 적으면 디플레이션이 생긴다고  교과서는 주장한다. 돈이 넘치면 가치가 그만큼 떨어지고, 시장에 물건이 넘쳐도 돈이 부족하면 쫄쫄 굶는 이가 늘어난다. 따라서 교환할 물건의 가치만큼 돈이 돌아야 사회도 경제도 안정되는데, 은행은 이자를 발행하지 않았다. 이자만큼의 돈은 없으니 이자는 의자 뺏기 놀이와 다르지 않다. 이자만큼 돈을 은행에서 더 발생하려면 물건을 더 만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경제성장이 없으면 의자를 빼앗기는 이는 늘어날 것이다.


사람이든 생태계든 희생이 뒷받침될 때 이자를 요구하는 경제는 잘 성장한다. 식민지에서 자원을 정당한 대가 없이 가져오고 노예를 부릴 때 경제성장은 순조로웠다. 돈을 더 발행하고 물건을 더 만들어내도 충분히 소화했지만 지금은 아니다. 헐값으로 가져올 자원이 거의 남지 않았다. 노예 노동에 억지로든 흔쾌하든 응할 사람을 점점 찾기 어렵다. 강남의 화려한 건물이 유지되는 건, 강북의 일용직 노동자가 착취와 다름없는 노동을 마다하지 않기 때문인데, 언제까지 유효할 수 있을까.


한 국가의 경제가 세계에 연동되면서 이자를 낼 정도로 돈이 때때로 순조롭지 않다. 중국을 보자. 세계 불황이 닥치자 싼 임금으로 혹사당하던 농민공들이 일자리가 사라진 도시를 떠나 땅이 있는 고향으로 되돌아갔다. 그러자 중국에서 물건을 받아야하는 나라들이 이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국가와 국가 사이에서 그치는 게 아니다. 현재의 어려움은 다음세대로 이어진다. 자원은 보충되는 게 아니지 않는가. 경제성장을 위해 흥청망청 소비했던 석유는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더니 고갈을 눈앞에 두었다고 한다. 다른 자원들도 사정이 비슷한데,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늘어나고 불황은 깊어지지만 은행은 여전히 이자를 요구한다.


생각해보자. 산유국에서 쉬쉬하지만, 생산하는 석유는 늘어나기만 하는 소비량에 미치지 못한지 벌써 여러 해 지났고, 그 위기를 극복할 가능성은 없다고 관련 전문가들은 단정적으로 주장한다. 지구온난화의 주범 중의 하나로 지목되는 자동차산업은 이자 요구하는 경제체제에서 전도양양할까. 다른 산업은 어떨까. 노동자 해고는 어쩔 수 없다는 의미로 오해하지 않길 바란다. 합의를 전제로 양보와 타협 없는 해고는 지탄받아야 하고 노동자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야 마땅하지만, 노동자도 현 경제체제의 한계를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의미다. 범세계 핵발전소 노동자처럼 재생 가능한 전기산업과 같은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인하대 교수 생물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