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 농촌정착 기피현상 심화
젊은층 농촌정착 기피현상 심화
  • 김정기
  • 승인 2002.01.24 00:00
  • 호수 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책·제도적 지원책 확충해야
서천 농업의 뿌리가 흔들리고 있다.
농촌을 이끌어갈 인력으로 육성해온 농민후계자와 후계농업인 산업기능요원, 농업계 학교 지원자 등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데다가 이미 농촌에 정착한 젊은층도 갈수록 어려워지는 농업여건 때문에 농촌을 이탈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천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새로 선정된 후계농업인(농민후계자)은 17명으로 93년 77명, 94년 60명 95년 49명, 98년 30명 등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 선정된 17명의 후계농업인가운데 15명은 쌀값 하락 등 어두워진 영농환경 때문에 연리 4∼5%에 최고 5천만원까지 지원되는 농민후계자 사업자금조차 아직 집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에 종사할 의욕있는 청년을 확보하기 위해 94년 도입된 후계농업인 병역특례 산업기능요원도 시행 첫해 서천지역에선 20∼30여명이 지원해 배정됐으나 매년 신청자가 줄어 올해는 2∼3명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이런 현상은 청년 농업인 양성을 목적으로 지난 96년 개교한 한국농업전문학교의 신입생 지원현황에도 나타나고 있다. 현재 5명의 서천지역 학생이 재학중인 이 학교는 학비지원과 졸업후 여러 가지 혜택 때문에 입학신청자가 7∼8명 수준에 달했으나 올해는 신청자가 겨우 1명에 불과한 상태다.
아울러 농촌청소년들의 모임인 영농4-H의 경우 한때는 회원이 2백여명에 육박했으나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으로 올해는 50명 수준으로 대폭 내려 앉았다.
이같이 해를 거듭할수록 농촌에 정착하려는 젊은층이 감소하는 것은 서천지역 인구 감소와 함께 농업 경쟁력이 갈수록 약화되는데다 농업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이 제시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에 대해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농업에 대한 획기적인 정책적 배려가 급선무다”며 “농지매매 절차 간소화 등 여러 가지 농촌사회 진입장벽을 낮추고 농촌 정착을 희망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영농실무교육을 전담하는 전문교육과정을 정부차원에서 많이 운영해야 젊은층의 농촌정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