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4)귀농·귀촌, 전라북도가 발 벗고 나섰다!
■기획취재/(4)귀농·귀촌, 전라북도가 발 벗고 나섰다!
  • 김장환 기자
  • 승인 2016.08.18 10:41
  • 호수 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귀농·귀촌 박람회’, ‘지원센터’ 운영, 귀농 일번지 도약
도, ‘유입정책’ 추진, 각 시·군 ‘안정적인 정착’ 지원

※이 기획취재는 충남도 지역미디어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옛말에 “사람은 성공하려면 서울로 가라” 했지만 요즘은 물질적인 성공을 뒤로한 채 내 삶을 찾고 가족의 행복을 위해 농촌으로 귀향하는 귀농·귀촌 인구가 늘고 있는 추세다. 정부 또한 수도권의 인구 밀집을 해소하고 농촌인구의 증가를 위해 귀농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는 현실에서 각 지자체들이 도시민 유치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한때 귀농1번지로 도시민들에게 큰 관심을 받았던 서천군이 이제는 타 지자체들이 앞 다투어 지원정책들을 내놓으면서 귀농1번지의 인기가 시들고 있다. 재정자립도가 약한 서천군이 귀농 1번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혜안을 찾고 귀농·귀촌인들이 제2의 고향인 서천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 데 실질적인 도움은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한다.<편집자 주>

인구감소와 고령화 마을, 전북의 고민

전라북도는 대한민국 6개시와 8개 군으로 나뉘어 있고 인구는 187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산업비중은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사업서비스업 부문으로 76.9%를 차지하고 있고 농림어업은 20.2%로 전국 평균 6.9%를 비교하면 약 3배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북이 경제 활동 면에서 농업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과 달리 1980년 대 이후 2차 산업과 3차 산업의 발달과 자유 무역 협정(FTA) 등으로 인한 농업의 경쟁력이 쇄락하면서 직접적인 인구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전북은 1965년까지만 해도 인구가 250만 명을 웃돌았지만 농촌인구의 대도시 이주와 저 출산, 농업경쟁력 하락 등으로 해마다 감소, 지난 2015년을 기준해 187만2965명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추세라면 향후 10년 이후에는 130만명 이하로 감소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또 농촌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농업의 경쟁력 약화와 지속적인 인구감소로 마을기능이 한계에 다다른 한계마을도 풀어야 할 숙제다.

전북도의 각 지자체별 인구와 고령화 비율(2015년 기준)은 ▲전주시 65만2282명(12.1%), ▲군산시 27만8398명(14.84%) ▲익산시 30만2061명(15.57%) ▲정읍시 11만5997명(24.09%) ▲남원시 8만4856명(24.12%) ▲김제시 8만8721명(27.64%) ▲완주군 9만5303명(19.23%) ▲진안군 2만6203명(30.95%) ▲무주군 2만3220명(29.50%) ▲장수군 2만3277명(29.35%) ▲임실군 3만271명(31.48%) ▲순창군 3만248명(30.36%) ▲고창군 6만46명(29.40%) ▲부안군 5만6848명(28.53%)으로 집계됐다.

또 전북도의 한계마을은 1000여 곳으로 전체 20%를 넘어선지 오래다. 전주시와 군산시, 익산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자체가 고령화에 접어들었고 무주군이나 장수군, 진안군, 임실군, 순창군 등은 인구감소와 농촌마을의 고령화, 한계마을이 속속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삼락농정(三樂農政)’과 귀농·귀촌

전북도가 인구감소와 농촌인구의 고령화, 한계마을을 극복하기 위해 도정 최우선 과제로 ‘삼락농정(三樂農政)’란 농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삼락농정’은 우선 ‘보람찾는 농민’으로 농업·농촌의 주체인 농가의 경영안정과 복지 및 생활편익 시설을 확충해 농업에 종사하면서 보람을 찾도록 하는 것, 둘째 ‘제값 받는 농업’으로 지속가능한 생산기반과 지역소비 체계 구축, 시장 선도형 유통조직 육성 등을 통해 수입 농산물에 밀리지 않는 제값 받는 생산·유통 체계를 만드는 것, 셋째 ‘사람 찾는 농촌’으로 많은 도시민이 즐기고, 맛보고, 체험하기 위해 농촌을 찾고 귀농·귀촌인이 정착해 살고 싶은 활력 넘치는 농촌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삼락농정’의 4대 전략으로는 농촌관광 활성화, 전북 생생마을 만들기, 향토자원 복합 산업화, 귀농·귀촌 여건개선이다.
전북에 거주하는 농민들이 농업을 통해 서로 상생하며 부가가치를 올리고 행복한 농촌, 꿈이 있는 농촌을 만들겠다는 의지와 함께 귀농·귀촌을 통해 인구감소와 고령화, 한계마을을 극복하고자 하는 농업정책을 이끌고 있다.

한발 더 앞서는 전라북도 귀농·귀촌 정책

전북이 귀농·귀촌 사업에 적극 나서면서 최근 귀농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전북이 농업정책에 1조2000억원을 투자하고 귀농·귀촌인들의 유입을 도의 전략사업으로 추진하는 이유는 ‘활력이 넘치는 농촌’, ‘풍요로운 농촌’을 만들자는 것이다.
공단을 조성하고 기업을 유치해 인구를 늘리는 정책보다 전북이 갖고 있는 농업 경쟁력을 앞세워 도시민들이 스스로 찾는 농촌을 만든다는 전략이다. 전북도의 귀농·귀촌 사업은 크게 유입정책과 정착지원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도차원에서 유입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고 시·군을 통해서는 안정적인 정착에 집중하고 있다.
우선 전북도가 대한민국 최초로 매년 10억원의 사업비를 마련해 서울시 방배동과 전주시에 ‘전북귀농귀촌지원센터’을 운영하면서 귀농·귀촌 상담과 교육(인문·현장방문)을 비롯해 박람회 개최, 각 지자체의 홍보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곳을 통해 전북의 귀농귀촌 통합정보를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홈페이지(www.jdreturn.com)와 콜 센터(1577-3742) 운영, 방문·상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전북귀농·귀촌지원센터’를 찾으면 전북 13개 시·군의 행정담당자와 귀농인 선배를 직접 만나 귀농·귀촌정책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고 교육도 받을 수 있다.
또 각 시·군별로 년 2회 귀농·귀촌 상담과 홍보부스를 운영하는데 도시민들은 교육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2박3일의 현장교육을 다녀올 수 있다.

이밖에도 귀농·귀촌 박람회를 비롯해 우수마을 선정, 토지 및 주택정보구축, 임시 주거 공간 조성, 생생 귀농귀촌학교 운영 등 다양한 사업들이 진행된다.
도의 유입정책 이후에는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이나 이사비 지원, 소규모 시설하우스, 중소형 농기계, 농지매입 및 임차비 지원, 소규모 삶터 지원, 자녀 학자금, 우수마을 인센티브 등 각 지자체별 정착지원이 뒤따른다.

또 각 시·군별로 차별화된 지원이 있는데 군산시의 농어촌소득금고 지원사업이나 정읍에 영농정착지원(보조 300만원, 자부담 300만원), 남원의 소규모 삶터 조성(가구당 5000만원~1억원), 장수군의 동아리활동 지원(모임별 250만원) 등이다.
특히 젊은 귀농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완주군은 농지매입비(250만원 이내)를 비롯해 농지 임차비, 교육훈련비, 이사비, 출산 장려비, 자녀학자금, 귀농귀촌마을환영행사 등 다양한 지원이 뒤따르고 있다.
도의 유입정책과 각 시·군의 정착지원으로 전북도를 찾는 귀농·귀촌인들이 해마다 늘고 있는 것이다.

위 표에서 보듯 2001년부터 전북도를 찾은 귀농·귀촌 가구 수는 총 5만7236가구, 인구는 총 7만3856명이나 된다.
행정자치부에서 2013년부터 소급해 통계를 냈다고는 하지만 전북도가 사업에 적극 나선 이후 귀농·귀촌 인구가 급격하게 유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서울시를 비롯해 경기도, 인천시 등 수도권에 거주하던 도시민들이 급격히 늘어난 원동력으로 서울시 방배동의 ‘전북귀농귀촌지원센터’와 대한민국 최초로 운영되고 있는 ‘귀농·귀촌 박람회’를 들 수 있다.

광역단체 최초로 선보인 ‘귀농귀촌 박람회’

전북도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도시민 유치를 위한 ‘전북 귀농·귀촌 박람회’를 열었다.
지난 7월 1일부터 3일 간 서울시 aT 센터 종합전시컨벤션에서 열린 박람회는 ‘귀농 귀촌! 이제는, 전북이다’를 주제로 전북도가 주최하고 전북도귀농귀촌연합회(회장 김한성)가 주관했다.
또, 전북도내 각 지자체와 교육기관, 농촌체험·휴양마을, 관계기관 등 70여개 기관이 참가해 도시민들에게 각종 지원정책 등 농촌정착에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귀농·귀촌사업에 큰 도움을 주었다.

박람회를 통해 지자체 홍보·상담관, 귀농·귀촌 교육관, 농촌체험·휴양마을관, 로컬푸드관, 유관기관 협력관, 전북도 종합홍보관 등 6가지 테마 전시관을 마련했다.
각 테마 전시관을 통해 각 자치단체별 귀농·귀촌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개인별 맞춤형 상담을 진행하며 이론 및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도 운영했다.

또 각 지자체에서 재배되는 로컬푸드나 마을기업에서 생산된 가공식품을 소개해 지역 특산품을 홍보하고 판매까지 나서고 있다.
올해는 완주·순창·고창군수와 마을이장이 참여해 농촌의 현실과 변화상을 설명하는 ‘이장과 군수’, 정착과정을 이해하고 서로 돕는 ‘터 잡고 말해요’, 김용택 시인의 ‘농촌유학’ 토크쇼 등 귀농·귀촌 추세를 겨냥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면서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삼락농정’, 전북도가 ‘활력이 넘치는 농촌’, ‘풍요로운 농촌’을 만들기 위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