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우영의 고전산책 / 모르는 것보다 더 위험한 것은
■ 송우영의 고전산책 / 모르는 것보다 더 위험한 것은
  • 뉴스서천
  • 승인 2021.07.08 08:48
  • 호수 106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르는 것보다 더 위험한 것은
모른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이다

 

논어論語 술이述而7-8문장에 불분불계不憤不啓라는 말이 있다. ‘알려고 애쓰지 않는 자에게는 알려주지 않는다쯤 되는 말이다.

전체 문장은 이렇다. “자왈子曰 불분불계不憤不啓 불비불발不悱不發 거일우擧一隅 불이삼우반不以三隅反 즉불복야則不復也

풀어쓰면 알려고 애쓰지 않는 자에게는 알려주지 않으며, 입으로 표현하려고 애쓰지 않으면 설명해주지 않으며, 한 모퉁이를 들어 일러 주었음에도 나머지 세 모퉁이를 미루어 생각하지 못한다면 더이상 가르치지 않는다.

여기서 분은 주자의 표현을 빌리면, 머리로 이해는 했는데 몸으로 납득이 안되는 배움이 체화가 안된 상태, 는 다산 정약용 논어 다산 고금주에 의하면, 마음의 안타까움으로 입은 말하고자 하나 정확히 알지 못해서 설명을 못하는 어설프게 아는 지식, 는 개로 문이 닫혀 밖에서 두드릴 때 안에서 열어줘야 하는 상태를 말하고, 은 아와 같은 의미로 싹을 틔워주는 것으로 말을 틔워주는 것이며, 는 시로 단순히 모퉁이 혹은 구석 정도를 훨씬 넘어선 남이 생각하지 못한 부분까지 읽어내야 한다는 의미이고, 은 복으로 한번 알려준 것은 곱씹고 또 곱씹어서 잊혀지지 않을 때까지 익힘이다.

순자荀子는 이런 가르침을 귀로 들어와 마음에 붙어 몸으로 퍼져 행동으로 나타나는 앎이라했고 그로부터 많은 세월이 지난 후학 주자에 이르러 이를 귀로 들어와 몸과 마음을 거치지 않고 입으로 나오는 얕은 앎에 조심하라 경책한다.

위의 문장 끝에 이어지는 문장이 논어 위정편2-17문장으로 자왈子曰 회여지지호誨女知之乎 지지위지지知之爲知之 부지위부지不知爲不知 시지야是知也풀어쓰면 , 내가 너에게 아는 것이 뭔지를 알려주마.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아는 것이다.”

여기서 독자는 회여지지호誨女知之乎문장의 첫 글자 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논어에는 두 개의 훈이 나오는데 정훈庭訓과 회훈誨訓이다. 정훈庭訓은 논어論語 계씨季氏16-13문장에 나오는 자식을 멀찌감치에 두고 마당에서 가르치다라는 제하의 과정지훈을 말하는 거고, 회훈誨訓은 본문의 문장으로 스승 공자가 수제자 자로를 가르치는 모습이다. 자로子路는 성이 중이요 이름은 유이며 자로는 그의 자. 13-16세에 이른 남자는 성인식 관례를 행하는데 이때 자를 받는다. 어려서는 부모가 지어준 아명을 부르다가 성인식 관례 이후는 부모가 지어준 이름은 함부로 부르기를 삼가해 휘하고 자를 부른다.

이런까닭에 조선시대 경우에는 대부분 이름 대신 자를 부르는 경우가 많았고 지금도 흔치는 않지만 성인식 관례를 통해 자를 받는 경우가 있다.

가르침에는 크게 셋으로 구분하여 회가 있다. 부모가 자식을 가르칠 때 회로 가르치며 기간도 학업증명서도 졸업장도 없는 부모가 죽어야 끝나는 긴 가르침을 말하며, 학교 선생님이 학생을 가르침을 교라 하여 일정 기간 지나면 졸업을 하게 되며, 방외산림에서 스승이 문도를 가르칠 때 이를 사라 한다. 사는 스승을 떠날 때 한 가지 자격이 주어지는데 스승의 이름을 자신의 이름 앞에 놔도 된다는 일종의 허가서 같은 것이다. 누구의 문도, 어느 어느 스승에게 사사했다, 등등의 표현이 그것이다.

사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문제는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거기에는 자신을 속여야하는 그악스러움이 있어서다. 그래서 공자의 자공을 향한 회훈誨訓속에는 제자 자로를 향한 죽비와 같은 따끔한 일침이 숨겨져 있는 것이다.

곧 자로子路 너는 알기 때문에 안다고 말하는 것이냐, 모르니까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냐. 알면서도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냐. 알지도 못하면서 안다고 큰소리만 치는 것이냐. 첫 번째 경우는 진짜 아는 경우고 두 번째 경우는 거짓을 모르는 경우고, 세 번째 경우는 겉과 속이 다른 경우고, 네 번째 경우는 미욱한 놈이다.

내가 아는 것이 없다는 사실을 아는 것<지부지知不知> 이것이 가장 훌륭하며<> 알지 못하면서 안다고 하는 것<부지지不知知> 이것은 미욱한 것이다.<> 왕필王弼 노자 도덕경 71장에 나오는 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