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청년층의 유입과 이들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스마트 팜(지능형 농장) 조성을 통해 인구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 번 밝혔다.
김 지사는 6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올해 두 번째 과장간담회에서 “전국적으로 인구문제가 심각한데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청년을 유입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신필승 인구정책과장의 의견에 이 같이 답했다.
김 지사는 “현재 농촌은 젊은층을 유입할 수 있는 요인이 없다”며 “젊은 농업인 1만여 명이 올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것이 저의 뜻”이라고 말했다.
이어 “은퇴 이후 귀농귀촌을 하시는 분들도 소중하지만, 농촌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아이를 나아서 기를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와야 한다”며 “스마트 팜 등 젊은 사람이 올 수 있는 농촌 환경을 만드는 데 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귀농귀촌 정책의 효과로 지난해 말 기준 충남 인구는 3780명이 늘면서 인구가 늘어난 5개 시도에 포함됐지만, 청년 인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충남의 노령인구 비율은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인 18% 보다 높은 20.6%로, 청년 인구 감소에 따른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다.
김 지사는 “청년 등에게 임대아파트를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는데, 여기에 투입되는 예산이면 대규모 스마트 팜을 조성해서 임대를 줄 수 있다”며 “청년들이 농촌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스마트 팜 등 직장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네덜란드나 뉴질랜드 같은 나라는 농민들에게 직접 예산을 지원하지 않고, 유통구조 등 시스템을 개선하는데 예산을 사용한다”며 “현금 지원 보다는 유통구조를 바꾸고, 대기업과 연계해 계약재배를 하고, 수출길을 열어주는데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