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문화를 바꾸자
정치문화를 바꾸자
  • 편집국 기자
  • 승인 2012.04.23 15:44
  • 호수 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4.11 총선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선거였다.
우선 낮은 54.6%로 보령지역의 58.1%보다 낮았다.
이를 두고 우리 지역 출신의 출마자가 없기 때문이었다고 해석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이는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관찰일 뿐이다.
갈수록 희박해지는 주권의식과 아직도 대의민주주의의에 대한 이해 부족이 크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유권자는 국회의원을 통해 간접적으로 국정에 참여하고 지역현안들을 조율하여 전국적인 합의를 도출하건만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낮다는 뜻이다.


전국을 상대로 선거전을 펼치는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율이 높음을 생각하면 충분히 수긍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가 부족한 데서 지역주의가 파고든다.
아무래도 지역사람을 선출하면 그들의 이익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부추기는 것은 후보자에게도 책임이 있다.
후보자들의 선거 유세를 듣다 보면 곳곳에서 이러한 면을 들추어낼 수 있다.그렇다고 지역주의가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그 지역의 특성을 잘 살려나가는 지역주의야말로 오히려 권장해야 할 것이다.
이는 획일화를 벗어나 탄력있고 건강한 사회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회의원은 그 지역의 특성을 잘 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선거가 끝난 후의 유권자들의 몫이다.
중앙에서 더 많은 것을 얻어내와야 유능한 국회의원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둘째로 이번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대부분의 출마자들은 인물론을 내세웠다.
자신이야말로 지역발전을 이루는 데 가장 적합한 ‘큰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선진적인 정치를 하고 있는 나라에서 볼 수 있는 정책이나 그 사람의 가치관을 보고 뽑는 경우가 드물고 내가 잘 아는 사람을 뽑는 경향이 심하다.
이러다 보니 인물 위주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하나의 선거 유세전은 ‘정책 대결의 장’이 아닌 ‘세 과시의 장’으로 타락하고 말아 중요한 지역 현안 문제를 두고 치열한 토론은 볼 수 없고 어떤 쟁점마저도 떠오르지 않았다.
‘사즉필생’이란 섬뜩한 구호를 외치며 나서는 후보들은 내 사람 끌어들이기에 바빴다.
그러다 보면 상대 후보를 비방하고 공격하게 된다.
한국의 선거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이러한 것이 먹혀들어가는 한국사회이다. 이러한 구태는 이제 유권자들이 심판해야 한다.
선거가 이렇게 치러지다 보니 선거가 끝난 후의 후유증도 만만치 않다. 당선자 측에서는 선거에 공을 세웠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 ‘보답’ 등의 문제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어찌 보면 자업자득일 수도 있지만 선거 분위기를 그렇게 몰아간 데 대해서는 후보자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또한 이런 분위기를 쇄신해 선진국형으로 나아가야 과제를 외면한 채 세과시나 온정주의, 또는 인물중심주의에 빠져든 것은 유권자의 책임이다.
이제 후보자나 유권자들의 의식개혁이 필요하다. 기성세대들의 이러한 모습에 20대층이 선거를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제부터라도 정치의 문화를 바꿔나가야 한다.
정치판이 아니라 대의민주주의 시스템이 악용되는 일이 없도록 정치문화를 바꿔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