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서천만의 문화를 찾아보자
설 명절, 서천만의 문화를 찾아보자
  • 편집국 기자
  • 승인 2014.01.27 11:14
  • 호수 69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 명절이 다가왔다. 태음력을 쓰던 우리 민족은 설을 최대의 명절로 삼아왔다. 그러나 1895년 을미개혁기에 도입한 양력설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공식적인 ‘설’로 인정받은 반면, 음력설은 ‘구정’이라 부르며 천대받았다.


당시 양력설과 음력설을 함께 쇠는 것을 ‘이중과세(二重過歲)’라고 해 양력설을 지내도록 장려했으나 전통을 중시하는 민간에서는 음력설이 사라지지 않았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양력설만을 인정, 1월 1일부터 3일간을 공휴일로 지정했다. 그러나 대다수 국민들은 우리의 전통명절인 음력설을 쇠어 사실상 두 번의 설을 지냈다.


“설은 음력설이 진짜”라는 전통이 워낙 강했기 때문인지 63년 국가재건최고회의는 ‘구정’을 ‘농어민의 날’ 국경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양력설은 그대로 두되 음력설 하루를 쉬게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세계가 모두 양력을 쓰는데 우리만 고리타분하게 음력을 되살려 국제화에 역행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많았다. 결국 정부는 바로 “구정을 공휴일로 하는 건 시대에 맞지 않고 여러 가지 낭비가 뒤따른다”며 백지화했다.


이어 음력 설을 못 쇠게 하는 압력의 강도가 높아졌다. 70년대 내내 박대통령은 음력설날 중앙부서 연두순시를 하거나 기관장회의를 열어 설날 근무기강을 다잡곤 했다. 75년 국무회의에선 “정부가 이중과세를 않도록 국민을 지도 계몽하는 방침에 전혀 변화가 없다”고 새삼 강조하고 “공무원부터 솔선수범해 두 번 설을 쇠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촉구했다.

78년 최규하 총리는 “구정 날 공무원이 정시에 출퇴근을 하는지, 근무 중 자리를 뜨지는 않는지 철저히 감시하라”며 ‘집안단속’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 후 전두환 정권 때인 1985년 설날 명칭에 대한 다양한 논의 결과 음력 1월 1일을 공휴일인 ‘민속의 날’로 지정했고, 마침내 1989년 2월 설날 공휴일을 현재와 같이 변경했다. ‘설날’이라는 명칭을 회복한 것이다.


국운과 함께 시련을 겪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맞아 훈훈한 인심이 살아나고 있다. 곳곳에게 불우한 이웃을 돌아보는 행사가 열리고 있고 온정의 손길이 뻗치고 있다.
이같은 이웃 사랑의 정신은 오랜 역사를 이어온 우리 민족의 전통이었다. 60년대만 해도 설날이면 아침 차례를 마치고 가까운 이웃에 음식을 돌리고 마을의 어르신을 찾아 문안 인사를 드리는 세배꾼들로 동네 골목이 북적였었다.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농촌 인구가 급속히 감소하고 공동체 의식이 희박해지며 이러한 아름다운 모습이 차츰 사라지고 있으나 아직도 우리 가슴 속에는 수천년 내려온 전통이 살아있다. 나 혼자만 잘 살면 된다는 생각은 아직도 이 사회에서 배척받고 있는 것이다.


서천군은 노인 인구수가 특히 많다. 이 가운데에는 독거노인들도 상당수에 이른다. 이제 설 명절을 맞아 우리 가까운 이웃에 어려운 분들은 없는지 꼼꼼히 살펴보자. 몇몇 단체에서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우리 가까운 이웃을 돌아보고 서천만에서만 볼 수 있었던 아름다운 전통을 되돌아본다면 강추위쯤은 저만큼 물러나고 활기찬 새봄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