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시장터 / 기후변화 시대의 물 이용법
■ 모시장터 / 기후변화 시대의 물 이용법
  • 박병상 칼럼위원
  • 승인 2019.08.29 11:01
  • 호수 97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스베이거스를 가본 적 없어도 화면으로 많이 구경했다. 첩보영화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카지노 이외에 화려한 무대의 쇼를 라스베이거스는 자랑하던데, 거긴 적지 않은 돈을 지참해야 입장이 자유로울 거 같다. 무료로 방문자의 넋을 빼는 볼거리도 있단다. ‘벨라지오 분수 쇼가 그것으로, 음악에 맞춰 1200개 노즐에서 현란하게 분사하는 물줄기의 향연은 라스베이거스의 진수라고 한다. 한데 라스베이거스는 사막에 세웠다.

336억 톤의 물을 담는 미드호가 48킬로미터 떨어진 콜로라도 강에 모습을 드러냈기에 라스베이거스는 신기루 같은 광채를 발휘할 수 있다. 1936년 이후의 일이다. 인구 60만이 넘지만 관광객이 거주민의 수십 배에 달하는 라스베이거스는 후버댐이 없으면 명성을 유지할 수 없는데, 최근 지속되는 가뭄으로 미드호 수심이 30미터 이상 낮아졌다고 한다. 예전 같이 물을 공급받을 수 없는 라스베이거스는 생활하수를 철저히 정화해 분수 쇼를 이어간다고 한다.

미 캘리포니아는 오렌지로 유명했다. 최근 포도주로 명성을 추가한 데 이어 아몬드는 세계 수요의 80%를 담당할 정도라고 한다. 1938년 존 스타인벡은 황폐화된 오클라호마를 떠나 젖과 꿀이 흐르는 캘리포니아로 이주하는 농부 가족의 애환을 분노의 포도에 담았는데, 요즘 캘리포니아에 젖과 꿀이 흐르지 않는다고 한다. 예전에 없던 가뭄 탓이다. 포도주와 아몬드의 명성이 여전한 건 로키산맥의 빙하에서 사시사철 물을 공급하기 때문인데, 전 같지 않다고 한다. 폭설로 뒤덮이던 산간에 비가 내린다는 게 아닌가. 김연아 선수가 금메달을 받은 2010년 동계올림픽 때, 밴쿠버에 폭설은커녕 비가 내렸다.

미국은 물부족국가인가? 거대한 메타세콰이어 나무가 울창했던 시절에는 몰랐지만, 거의 벌채된 요즘, 미 서부는 강수량이 늘 부족하다고 통계는 지적한다. 캘리포니아 주의 평균 소득을 높이는 도시마다 많은 인구를 거느리는데, 시민들이 물 부족을 호소한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수돗물 원수를 다른 지역에서 넉넉히 조달하기 때문이리라. 하지만 요즘은 달라졌다. 집 앞의 잔디에 뿌리는 물을 줄여야 한다는 뉴스가 나온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전문가는 분석한다.

우리나라가 물부족국가일까? 4대강 사업이 강행되던 시절, 정부는 유엔이 지정한 물부족국가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실제와 다르다고 시민단체는 반발했다. 유엔과 무관한 국제인구행동연구소에서 1993년에 작성한 자료가 당시 정부 주장의 근거였다고 주장했다. 강수량을 단순히 인구로 나눈 수치로, 연평균 1인당 1000톤 미만이면 기근, 1000톤에서 1700톤 미만은 부족, 1700톤 이상은 풍요로 구분했다는 거다. 그런 식이라면 사하라와 고비사막은 터무니없게 물이 풍요로워야하고 캘리포니아는 가여울 정도로 기근이어야 한다. 하지만 어떤가. 지역의 물 서비스는 관리하기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다양하다. 우리나라는 미국처럼 물 관리가 우수한 국가에 해당한다.

동네 우물에서 길어 마셨던 시절, 물 절약은 어느 곳이나 일상이었다. 1960년대, 일주일에 한번은 목욕하라고 신신당부하던 담임 선생님은 용의검사를 엄격하게 하지 않았다. 그때 많지 않던 가정의 빨래는 이웃과 시냇물에서 해결했다. 마을이 커지고 빨래터와 우물이 가정의 세탁기와 수도꼭지로 대체되면서 물 사용량은 늘어나기 시작했다. 수돗물 관로가 가정으로 이어졌어도 공급이 불안했던 시절, 물을 받아놓아야 안심했던 우리는 절약 생활을 잊지 않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수돗물의 규모가 커지고 공급이 안정되면서 낭비가 생활화되었다. 아파트와 단독주택에 수도꼭지가 늘어나면서 물을 물 쓰듯 소비한다.

도시가 너무 크다. 에너지와 식량을 자급하던 마을로 돌아간다면 물 문제도 자연히 해결될 텐데, 우리는 너무 멀리 왔다. 늦었어도 불가능한 건 아니다. 근원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늦기 전에 하나둘 현실화해야 한다. 심화되는 기후변화는 물을 지역에서 자급하던 시절로 돌아갈 것을 강요하므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