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연재 / 서천의 멸종위기 조류 (2)넓적부리도요
■ 기획연재 / 서천의 멸종위기 조류 (2)넓적부리도요
  • 주용기 시민기자
  • 승인 2021.10.08 09:05
  • 호수 107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만금갯벌 사라지며 전 세계 300마리 이하로 감소

유부도 갯벌에서 매년 3~14마리 관찰, 올해 4마리
▲넓적부리도요
▲넓적부리도요

넓적부리도요의 분류

넓적부리도요는 영어명이 Spoon-billed Sandpiper이고, 학명이 Eurynorhynchus pygmeus이다. 넓적부리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해당한다.

넓적부리도요는 몸 길이가 1416센티미터이고, 몸 무게는 29.534그램으로서 작은 크기의 물새이다. 부리 색이 검고, 부리 끝이 넓적한 주걱 모양을 띠고 있다.

여름깃은 머리에서 가슴까지 적갈색이며, 가슴옆에는 작고 어두운 회색빛 얼룩무늬가 있다. 날개덮깃은 검은색으로 깃 가장자리는 갈색이다. 겨울깃은 머리가 엷은 회색으로 변하며, 눈썹선과 가슴은 모두 흰색으로 변한다. 다리는 검은색이다. 몸의 윗면은 갈색을 띤 회색이다. 어린새는 머리꼭대기와 몸의 윗면은 어두운 갈색이고, 깃 가장자리는 흰색과 황갈색이 혼재되어 있다. 소리는 조용하게 굴리는 소리로 프립하고 낸다.

국내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국제적으로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이 지정한 심각한 멸종위기종(CR)이다.

넓적부리도요의 생태적 특징

생태적 특성을 보면, 먹이를 잡을 때는 갯벌 위를 여러 마리씩 빠르게 움직이면서 부리로 갯벌을 찌르면서 작은 먹이를 잡아 먹는다. 먹이에 대해서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고, 아직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번식은 6월 하순에서 7월 중순까지 시베리아인 러시아 북동부(추코츠키반도에서 캄차카반도까지) 초지에서 번식하며, 번식기에는 수컷이 하늘로 100m 가량 높이 올랐다가 급강하하는 과시행동을 한다. 알은 2~4개를 낳으며, 엷은 갈색 바탕에 어두운 갈색 무늬가 있다. 포란은 수컷이 전담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좀도요 무리속에 섞여 관찰된다. 우리나라는 이동시기인 봄에는 4~5, 가을에는 8~10월에 서남해안갯벌와 강하구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된다. 우리나라 갯벌과 함께 중국과 일본의 갯벌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한다. 비번식기(월동기) 때는 중국 남동부, 방글라데시, 미얀마, 태국, 인도, 스리랑카 등 동남아시아로 이동해 갯벌에서 월동을 한다.

넓적부리도요의 개체수 변화

넓적부리도요는 1999년 새만금갯벌에서 한번에 200마리가 발견되었다. 당시 전 세계 개체수는 1,000마리 정도였다.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가 완료된 후 2011년에 5마리가 발견되었다가 2012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때 전 세계 개체수는 300400마리로 감소되었다. 50년 전에 대략 20002800쌍이 서식하였고, 그동안 80퍼센트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한다.

소수 개체가 관찰되었던 남양만과 강화도갯벌도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되어 최근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고 있다. 국내 서남해안 갯벌매립으로 인해 중간기착지로서의 기능이 감소하여 계속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 서천 유부도 갯벌에서 매년 3~14마리가 관찰되는데 올해는 4마리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낙동강하구 갯벌에서도 매년 12마리가 관찰된다. 이동시기에 우리나라 갯벌에서는 20마리 미만이 국지적으로 도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호대책

넓적부리도요는 갯벌 간척 및 하굿둑 건설 등 개발사업, 환경오염, 사람들의 위협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따라서 갯벌을 보호하도록 하고, 환경오염과 위협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만조 때 넓적부리도요들이 해안가로 다가와 휴식을 취한다. 이때 넓적부리도요가 위협을 당하지 않도록 사람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해야 하며, 사람들이 넓적부리도요에게 위협을 주지 않고 관찰할 수 있도록 주요 관찰지점에 밀폐형 탐조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낚시객들이 망가진 낚시그물을 버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해양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발생된 해양쓰레기를 빨리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주용기 시민기자>

<참고 문헌>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 : 조류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