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봄철 금강하구의 서천갯벌 도요물떼새 조사 결과
2024년 봄철 금강하구의 서천갯벌 도요물떼새 조사 결과
  • 주용기 시민기자
  • 승인 2024.06.28 10:26
  • 호수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색 가락지와 링 부착한 도요물떼새 339마리
▲2024년 봄철 큰뒷부리도요(W4BBRW)가 뉴질랜드에서 한국의 서천갯벌까지 이동한 경로 (참고 : www.globalflywaynetwork.org)
▲2024년 봄철 큰뒷부리도요(W4BBRW)가 뉴질랜드에서 한국의 서천갯벌까지 이동한 경로 (참고 : www.globalflywaynetwork.org)

도요물떼새가 북상하는 시기인 2024년 봄철(314일부터 524일까지)에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과 새만금갯벌, 무안갯벌, 제주도 성산갯벌에서 다리에 유색 가락지와 링을 부착한 도요물떼새를 조사했다.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다리에 유색 가락지와 링을 부착한 도요물떼새를 조사 기간은 45일이었고, 전체 관찰한 횟수는 830회였다.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의 종수는 10종이었다. 다리에 부착한 유색 가락지와 링에 글씨가 새겨진 개체를 1회 이상 관찰한 개체, 그리고 글씨가 새겨지지 않은 개체는 같은 개체인 것으로 분석한 결과, 유색 가락지와 링을 부착한 도요물떼새는 339마리이었다.

이 중에서 개체가 많은 종은 큰뒷부리도요(Bar-tailed Godwit) 205마리와 붉은어깨도요(Great Knot) 108마리이고, 다음으로 개꿩(Grey Plover) 5마리, 알락꼬리마도요(Far Eastern Curlew) 2마리, 흑꼬리도요(Black-tailed Godwit) 1마리, 노랑발도요(Grey-tailed Tattler) 2마리, 뒷부리도요(Terek Sandpiper) 5마리, 꼬까도요(Ruddy Turnstone) 7마리, 민물도요(Dunlin) 3마리, 좀도요(Red-necked Stint) 1마리이었다.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2024년 봄철에 관찰한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 339마리에게 가락지를 부착한 지역을 순서대로 정리해 보았다. 호주 퀸스랜드주(7지역)에서 98마리, 호주 빅토리아주(5지역)와 호주 북서부(9지역)에서 각각 62마리, 말레이시아(11지역)에서 29마리, 중국 총밍도(양쯔강 하구, 1718지역)에서 24마리, 뉴질랜드 북섬(1지역)에서 21마리, 우리나라(20지역)에서 11마리, 그리고 적은 개체수이기는 하지만 인도, 태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홍콩, 대만, 일본 북부, 미국의 알래스카 등 여러 지역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를 관찰하였다(<그림.1>

금강하구의 서천갯벌에서 꼬리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W4BBRW)2024년 봄철에 11번 관찰했다.(<사진.1> 큰뒷부리도요(W4BBRW)2020년 봄철부터 2024년 봄철까지 금강하구의 서천갯벌에서 매년 봄철마다 계속적으로 관찰(5)되었다.

인터넷 홈페이지(www.globalflywaynetwork.org)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큰뒷부리도요(W4BBRW)329일 오후1013분에 뉴질랜드의 미란다갯벌을 출발했고, 8일 동안 잠시도 쉬지 않고 북상해서 46일 오후922분에 서천갯벌에 도착했다(<그림.3>). 계속 서천갯벌에 머무르다가 2024516일 오전142분에 번식지인 미국 알레스카로 향해 출발했다(<그림.4>). 이를 분석해 볼 때 큰뒷부리도요(W4BBRW)가 서천갯벌에서 대략 39일에 더해 420분간 머물렀다.

금강하구의 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꼬리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W6RRYR)2024년 봄철에 5번 각각 관찰했다. 메시(Massey)대학의 필 바틀리(Phil Battley) 교수가 보내준 정보에 따르면, 뉴질랜드 북섬의 마나마추하구(Manawatū estuary)에서 202210월에 2년생이던 큰뒷부리도요(W6RRYR)에게 가락지와 위치추적기를 부착했다고 한다. 그리고 큰뒷부리도요(W6RRYR)2024318일에 뉴질랜드를 출발해서 325일에 한국의 갯벌에 도착했고, 43일에 금강하구 갯벌에 머무르고 있는 신호를 받았다고 전해주었다.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2024년 봄철에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 조사 결과를 2012년 봄철부터 2023년 봄철까지 12년간의 봄철에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를 조사한 결과와 비교하고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7년간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1마리, 6년간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8마리, 5년간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24마리, 4년간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46마리, 3년간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51마리, 2년간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53마리, 1년만 관찰된 도요물떼새는 114마리였다. 그리고 글씨가 새겨지지 않은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는 42마리였다.

▲꼬리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W4BBRW)
▲꼬리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W4BBRW)

오른쪽 다리 상단에 분홍색(W1) 가락지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가 2012년 봄철부터 2024년 봄철까지 13년 기간 중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7년간 봄철에 관찰되었다. 이 새는 2014년 봄철, 2015년 봄철, 2017년 봄철, 2021년 봄철, 2022년 봄철, 2023년 봄철에 이어서 2024년 봄철에 관찰된 것이다.

금강하구의 갯벌(서천갯벌과 군산갯벌)에서 2024년 봄철에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 조사 결과를 2013년 가을철부터 2023년 가을철까지 11년간의 가을철에 가락지를 부착한 도요물떼새를 조사한 결과와 비교해 보았더니, 반복적으로 관찰된 개체가 18마리이었다.

한편 도요물떼새가 북상하는 시기인 2024년 봄철에 다리에 유색 가락지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를 조사했는데 새만금갯벌에서 2일 동안 2마리와 무안갯벌에서 3일 동안 6마리, 제주도 성산갯벌에서 하루 동안 1마리 등 전체 6일 동안 총 9마리를 관찰했다.

420,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 위치한 새만금갯벌에서 관찰된 오른쪽 다리 상단에 흰색 가락지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는 큰뒷부리도요 43마리와 함께 확인되었다. 421일과 423일에는 새만금갯벌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를 관찰하지는 못했지만 큰뒷부리도요를 각각 56마리, 138마리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324, 제주도 성산갯벌에서 관찰된 오른쪽 다리 상단에 녹색 가락지(FFA)를 부착한 큰뒷부리도요는 큰뒷부리도요 5마리와 함께 관찰되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