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 담아먹는 데는 짚그릇이 최고여”
“곡식 담아먹는 데는 짚그릇이 최고여”
  • 허정균 기자
  • 승인 2011.02.26 00:44
  • 호수 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산 짚공예가 김강열씨

▲ 김강열씨가 만든 각종 공예품들.
수천 년 내려오던 전통을 단숨에 쳐내던 1970년대 새마을운동, 초가지붕들이 그때 사라졌다. 짚문화의 마지막 보루였던 가마니, 멍석, 새끼, 지게맬빵들마저 그때 다 사라졌을까? 일상세계에서 우리네 조상들의 확장된 몸이자 생활의 지혜였던 그 짚의 풍경들이 고스란히 사라졌다.


대신 플라스틱 제품들이 법람하기 시작했다. 수백년 동안 분해되지 않고 자연계를 떠도는 플라스틱은 결국 ‘모든 것을 다 받아준다’는 바다로 모여들어 이들 플라스틱 쓰레기들로 골칫거리이다.
짚으로 만든 생활용품들은 수명을 다하면 자연으로 돌아가니 지구상에서 이보다 더 친환경적인 물건들이 또 있을까. 이를 인식한 사람들이 새삼 우리 짚문화를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한산면 동산리 동자북마을 김강열(73)씨는 농한기임에도 짚으로 여러 물건들을 만들기에 바쁘다.
“곡식 담는 데는 짚그릇이 최고여”
짚으로 만든 그릇에 곡식을 저장해두면 한여름에도 벌레가 생기는 법이 없다는 설명이다. 그의 정성이 밴 크고 작은 짚으로 만든 공예품이 방안 가득하다. 각종 그릇에서부터 새집, 멍석 등에 이르기까지 모두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다.


20대 초에 아버님으로부터 짚공예를 배웠다는 그가 다시 이 일을 시작한 것은 3년전 교통사고로 오른쪽 다리를 절단하면서부터였다. 유난히 솜씨가 좋은 그는 옛 기억을 되살려내어 삼태기에서부터 도토리멍석 등을 만들어냈다. 마침 동자북마을이 문화역사마을로 지정되면서 그의 짚공예품은 인기가 상승하였다. 한산오일장 운영모임에서는 서천의 장인들의 공예품을 옛소방서 자리에 모아 전시하고 있는데 그의 작품은 이곳에서도 인기가 높다.


서울 나들이도 가끔한다. 만든 공예품들을 가지고 올라가 시연을 하면서 널리 알리고 판매도 한다. 지난 주말에는 인천에서 한 아줌마가 물어물어 찾아와 장식용으로 사용할 거라면서 이것저것 한 보따리를 사가지고 갔다고 전한다.
그는 갈대를 이용한 생활용품의 대표격인 빗자루를 소개했다.
“이것이 8년된 빗자루여. 손잡이가 길어서 허리를 굽히지 않아서 다들 좋다고 혀”


그에게 어려움은 불편한 무엇보다도 불편한 다리이다. 방안에서만 작업을 하다보니 대형 멍석은 만들 수 없다. 또한 재료 확보에도 남에게 의지해야 한다. 3남1녀를 모두 출가시켜 외지에 나가 잘 산다고 전했다. 이들이 자주 내려와 아버지의 재료를 확보해주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메누리들한테도 쌀 그릇 하나씩 만들어 주었어. 다들 좋다고 혀”

▲ 짚을 능숙하게 다루는 손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