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 언론이 희망이다”…제주서 활로 모색
“풀뿌리 언론이 희망이다”…제주서 활로 모색
  • 허정균 기자
  • 승인 2022.12.01 09:19
  • 호수 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 바른지역언론연대 세미나’ 서귀포에서 열려
▲27일 오전서귀포시 제주호텔에서 열린 ‘2022 바른지역언론연대 세미나’ 장호순 교수 특강
▲27일 오전서귀포시 제주호텔에서 열린 ‘2022 바른지역언론연대 세미나’ 장호순 교수 특강

전국 51개 풀뿌리 미디어 임직원들이 서귀포에 모여 언론의 생존방안을 모색했다. 부문별 우수 직원을 선정해 수상하고, 특강으로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는 방안을 공유했다.

‘2022 바른지역언론연대 세미나 풀뿌리 미디어가 희망이다26일부터 27일까지 서귀포시 제주호텔 더 엠에서 열렸다. ()바른지역언론연대(대표 최종길)가 주최하고 서귀포신문(대표 김창홍)이 주관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표완수)이 행사를 후원했다. 전국 지역 별 총 51가운데 40220명이 행사에 참가했다.

26일에는 풀뿌리언론상 수상자의 사례 발표와 김택환 경기대학교 교수의 특강, 개회식 및 시상식, 분임토의 등이 열렸다.

풀뿌리언론상 누가?

사전 공모를 통해 선정한 취재부문과 편집부문, 사업기획부문 우수 직원에게 풀뿌리언론상을 수여했다. 취재부문 최우수상은 태안신문 김동이 기자가, 우수상은 거제신문 최대윤 기자가, 장려상은 홍주신문 황희재 기자가 각각 수상했다. 시상 후에는 수상자별 사례발표가 이어졌다.

태안신문 김동이 기자는 태안 원유유출사고 보상금인 삼성지역발전기금을 운영하는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의 운영 문제를 집중 보도했고, 거제신문 최대윤 기자는 사투리가 살아야 지역이 산다기획 기사로 명맥을 잃어가는 거제지역 사투리 활용 방안을 다뤘다. 홍주신문 황희재 기자는 데이터로 바라본 홍성기획 기사로 홍성의 노인문제와 청년문제를 데이터에 기반해 이해하기 쉽게 분석했다.

사업 부문에서는 고양신문의 스무고개 북클럽 다독다독 책잔치가 최우수상을, 남해시대의 남해군 참전유공자들의 흔적남기기(기록사업)’가 우수상을, 금천in우리동네 정치살롱이 장려상을 각각 받았다.

고양신문은 스무고개 북클럽 다독다독 책잔치사업을 통해 유치원·초등학생이 목표한 책 권수를 다 읽었을 때 선물을 전달하는 등 책읽기를 권장하는 이벤트다. 올해 여름방학에는 3300여 명이 참여해 2500여 명이 목표를 달성했다. 남해시대는 남해군 참전유공자들의 흔적남기기(기록사업)’ 사업으로 남해군 6.25 참전 유공자들과 월남전 참전 유공자를 인터뷰해 유공자들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 금천in우리동네 정치살롱으로 금천구 관내 40여 개 단체 50여 명의 활동가와 함께 지난 지방선거에서 14개 분야, 87개 의제, 243개의 시민공약을 제안했다.

오마이뉴스 우수제휴사로는 주간함양이 선정됐다.

지역언론, 어떻게 생존할까?

김택환 교수가 뉴미디어 시대 지역언론 미래비전을 주제로 지역신문 빅데이터·인공지능 활용과 신경영 전략에 대해 강의했다.

김 교수는 대한민국은 현재 지방소멸 및 청년 유출, 초저출산과 고령화의 상황에서 서울 강남공화국으로 가고 있다라며 이를 극복하려면 온전한 자치 및 분권시대로 전국균형발전을 통해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야 하는데 지역신문이 지역을 선도할 기회라고 말했다.

특강이 끝난 후 참석자들은 취재부·편집부·뉴미디어부·관리부 등 직무와, 연령, 연차 등을 기준으로 17개 조로 나뉘어 1시간30분 동안 분임토의를 이어갔다. 각자 처한 현실의 애로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20대 청년 기자들이 지속해서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새로운 아젠다의 발굴과 콘텐츠에 대한 지속성 확보, 기성세대와 현세대의 뉴스에 대한 관점의 차이 극복, 지역 신문에서 인력 충원, 뉴미디어 분야에 있어 콘텐츠와 수익구조 개선 등을 위한 방안이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언론불신, 어떻게 해소할까?

27일에는 장호순 교수의 특강과 분임 토의 논의 결과발표, 폐회식 등이 이어졌다.

순천향대학교 장호순 교수는 오전 9시부터 1시간 동안 언론불신의 시대 풀뿌리 지역신문의 미래를 주제로 강의에 나섰다.

장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언론의 사회적 지위, 영향력의 축소 등 심각한 위기 현상을 되짚고 그 원인으로 언론에 대한 불신을 지목했다. 장 교수는 언론과 독자 사이 궁극적인 신뢰 관계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어떤 언론도 살아남을 수 없다라며 언론 환경을 통해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 지역언론임을 피력했다.

장 교수는 2021 언론수용자 조사를 인용한 뒤, 윤리강령을 통해 직업적 윤리 의식을 점검하는 메커니즘을 만들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리고 지역신문은 독자들과 가까이 있다는 이점을 갖고 있기에, 선결 조건이자 필요조건인 언론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며, 이것이 독자들이 언론을 윤리적으로 판단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특강에 이어, 26일 진행된 분임토의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발표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각 조의 대표는 조별로 논의된 문제와 안건을 공유하는 것으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