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도쿄전력 원전 1, 2, 3호기의 원자로가 녹아내렸다. 1~3호기에 녹아내린 핵연료를 냉각시키기 위해 원자로에 물을 주입했는데 이 물이 고농도 오염수가 돼 원전 건물 지하에 고여 있는 상태다.
게다가 건물 내부로 지하수가 침투하면서 원전 내의 오염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2019년 7월, 후쿠시마 오염수는 115만톤을 넘어섰으며 2030년까지는 200만 톤 이상 늘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2021년 4월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해양으로 방류하겠다는 방침을 공식 발표한 일본 정부는 2022년 7월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다. 이후 오염수를 방류할 1km의 해저터널을 뚫기 시작해 현재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 공사가 끝나면 핵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할 태세이다.
일본 정부가 내세운 방법은 희석 방출이다. 오염수를 바닷물과 섞어서 환경기준을 만족시켜 내보내겠다고 한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특히 삼중수소는 정화할 방법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2020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위기의 현실' 보고서를 통해 “일본 정부가 방사성 오염수 위험을 축소하기 위해 삼중수소만 강조하고 있다”며 “삼중수소 말고도 오염수에 들어있는 탄소-14, 스트론튬-90, 세슘, 플루토늄, 요오드와 같은 방사성 핵종이 더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은 일본과 가장 인접한 나라이다. 핵오염수가 방류되면 가장 먼저 그 영향을 입게 된다. 배출한 뒤 해당 해역의 수산물을 오염시키고, 이 수산물을 장시간 섭취하면 신체 내에 방사성 물질이 축적될 수 있다. 삼중수소가 인체 내 정상적인 수소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면, 베타선을 방사하면서 삼중수소가 헬륨으로 바뀌는 ‘핵종 전환’이 일어나며 DNA에서 핵종 전환이 발생하면 유전자가 변형, 세포사멸, 생식기능 저하 등 신체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한다.
이에 위협을 느낀 우리 어민들이 들고 일어났다. 부산 기장군에서, 울산에서, 제주에서, 목포에서 어민들이 집회를 갖고 일본 정부의 해양방류를 규탄하며 한국정부의 적극 대처를 촉구하고 있다.
지난 13일 제주도내 19개 시민사회단체 및 정당 등으로 구성된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은 제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311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 반대행진’을 벌이기도 했다.
서천군의회에서도 23일 제308회 임시회에서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피해 대책 특별법 제정 촉구 건의문’을 채택했다. 이제부터라도 정부가 적극 나서서 국제사회와 연대하여 일본의 핵오염수 무단 방류를 저지해야 한다.